담넘어 세상

베트남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투엔퉁(Thuyền thúng) 본문

재미있는 베트남여행

베트남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투엔퉁(Thuyền thúng)

담쟁이가이드 2023. 6. 30. 09:00
728x90

베트남에서 다낭과 호이안을 여행하게 되면 바닷가에 동그란 모양의 바구니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 배의 이름이 "투엔퉁(Thuyền thúng)"이라 부르며, 일부 호치민 사람들이 "까이퉁(Cái thùng)"이라 부르는데 정식명칭은 아니다.

투엔퉁(Thuyền thúng)
다낭 미케비치해변의 투엔퉁(Thuyền thúng)

 

투엔퉁(Thuyền thúng)은 192년 베트남 중부를 중심을 말레이계 참족이 세운 참파왕국의 사서에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역사가 약 2천년이 된것으로 보여진다. 이후 1802년에 세워진 응우옌(Nguyễn)왕조때 베트남에서 해외무역과 수산업이 발달하였으며 다낭과 호이안등 중부의 해안은 수심이 낮아 조업을 하고 들어오는 배들이 육지의 근처까지 들어오지 못해 조업한 수산물들을 배에서 육지로 나르는 역할을 하였다.

응우옌왕조 때에는 조업의 양에 따라 세금을 징수하였는데, 1872년 프랑스식민통치가 시작되면서 어선의 톤급에 따라 세금징수제도가 바뀌면서 어부들의 반발이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과다한 세금징수를 피하기 위해 투엔퉁(Thuyền thúng)이 널리 사용되면서 말그대로 전성시대를 맞았다.

보 응우옌 잡(Vo Nguyên Giap,1911-2013)이 이끄는 베트남군대는 1954년 비엔디엔푸(Điện Biên Phủ)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자주독립을 하는 듯 했으나, 1954년 열린 제네바협정에서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베트남은 북위 17도선을 중심으로 북과 남이 분단된다.

보 응우옌 잡 장군(Vo Nguyên Giap,1911-2013)

 

남베트남은 미국의 지원하에 응오딘지엠(Ngô Ðình Diệm1901-1963)대통령 정부가 수립이되었지만 호치민을 중심으로 단결된 북베트남과는 달리 부정부패가 극에 달했다.

응오딘 지엠(Ngô Ðình Diệm1901-1963)

 

프랑스의 톤급으로 징수하는 세금제도를 부활시키고 세금징수율을 2배로 높였다. 이는 조업을 하면 할 수록 적자가 나기때문에 조업조차 할 수 없는 구조였다. 여기에 더해 세계오일쇼크로 인해 석유조차 살 수 없게 되면서 남베트남의 경제는 붕괴수준에 이르렀다. 이런 사회적인 문제들로 어선운행이 어려워지자 어민들은 투엔퉁(Thuyền thúng)으로 조업을 하였다. 1975년 결국 남베트남은 멸망하게 되고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통일 시키면서 남베트남의 정치인들과 경제인들, 그리고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사람들을 잡아들여 숙청하였는데 이를 피해 무작정 배를 타고 베트남을 탈출하는 사람들이 엄청났다. 탈출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배들은 군함과 어선이었고 이것도 모자라 투엔퉁(Thuyền thúng)을 탈출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때 탈출한 사람들을 보트피블(Boat People)이라 한다. 지금은 전세계의 모든 난민을 보트피플이라 하지만 이때 처음 생겨난 말이다.

베트남을 탈출하는 보트피플

 

투엔퉁(Thuyền thúng)은 다낭, 호이안, 무이네, 나트랑등 중남부의 해변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호이안 투본강(Sông Thu Bồn)에서는 투엔퉁(Thuyền thúng)을 타는 체험도 할 수 있다. 노를 젓는 뱃사공의 기술이 감탄을 자아낸다.

호이안 투본강의 투엔퉁(Thuyền thúng)투어

 

투엔퉁(Thuyền thúng)을 만드는 방법

대나무를 격자(평직)형태로 엮는다.

물소똥을 배 안쪽에 전체적으로 발라 1차 방수를 한다.

송진과 코코넛 수액을 섞어 발라 2차 방수를 한다.

배 바깥쪽에 콜타르(석탄에 공기를 차단하여 가열하면 나오는 물질)를 발라 3차 방수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