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달랏
- 물소뿔의효능
- 하농이여행
- 사파
- 베트남최고관광지
- 하롱베이동굴
- 색다른여행
- 베트남독립기념일
- 베트남물소뿔
- 키후이꽌
- 하롱베이전경
- 베트남여행
- 키후이콴
- 베트남배우
- 담쟁이가이드
- 환상적인뷰
- 하노이
- 베트남사진
- 옌득마을문화체험
- 호이안
- 옌득마을
- 베트남국경일
- 베트남
- 베트남영행
- 나트랑
- 다낭
- 담넘어세상
- 하노이여행
- 나민의여행
- 하롱베이
- Today
- Total
담넘어 세상
돼지고기를 안 먹는 이슬람교와 소고기를 안 먹는 힌두교 본문
인류가 수렵과 채집을 하던 선사시대 때 부터 고기는 인간에게 아주 특별한 음식이었다. 당시에는 가축의 개념이 없이 사냥을 해서 고기를 구해야 했으므로 구하기가 어려웠으므로 맛있었지만 구하기가 어려웠다. 당시 여자들이 채집해 온 열매와 씨앗들로만으로도 배출 채울 수 있었고, 단백질은 생선이나 벌레 같은 것으로 영향소를 맛출 수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온혈동물의 붉은 고기를 먹고 싶어했기 때문에 주족 내에서 건장한 남자들은 목숨을 걸고 사냥에 나가는 일을 감수해야 했다.
농경이 시작도니 이후에도 고기에 대한 집착은 사라지지 않았고 고기는 권력과 특권을 사치로 자리를 잡았다. 가축을 기르더라도 젖이나 알 같은 부산물을 공급받거나 노동력을 얻기 위함이었지 가축을 잡아먹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하지만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가난한 사람들이 자기네 집 가축을 잡아먹었다가 다음해 농사를 망치고 부자들이 목초지를 만들기 위해 땅을 독식하면서 유랑민이 생겨났다. 심지어 마땅한 가축이 없는 일부 사회에서는 사람끼리 잡아먹는 일도 드물지 않았다.
고대 세계의 지도층들은 공동체의 생산 역량을 보존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을 거스르는 강력한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먹도도 되는 것과 먹으면 안된느 것을 정하여 지키도록 했다. 여기서 지도층은 종교의 제사를 주관하는 사제계급으로 제도에 무지한 백성들이 알아듣기 쉽도록 종교에 제도를 넣어 전해지기 시작했다.
세계 주요 4대종교라 하면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를 꼽는다.
그리고 이 중 가장 큰 세력인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같은 뿌리에서 나온 종교로 공통 조상인 유대교까지 합쳐 아브라함계 종교라고 한다. 구약을 바탕으로 하는 유대교에는 카슈루트(כַּשְׁרוּת, kashrut)라는 율법에 육식을 금지하고 허용된 음식만 먹도록하는 율법이 있어 돼지고기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육식을 제한했다. 이를 이어온 이슬람교도 돼지고기를 먹지 못하게 하고 있다.
이는 종교의 교리 보다는 사회의 질서와 안정을 위한 조치였다. 돼지는 동물중에 가장 키우기 쉬운 동물로 먹이를 가리지 않고 웬만한 것ㄴ 다 먹을 수 있고, 사료를 고기로 전환하는 능력도 좋아서 포유류중에서도 압도적으로 효율이 높은 동물이다.
하지만 당시 유대인들의 터전은 황량한 사막으로 척박한 땅이었다. 이런 환경에서 돼지는 오히려 키우기 어려운 동물이다. 돼지는 더우면 쓰러져 죽는데, 그늘이 없는 지역에서는 서늘한 우리를 따로 지어줘야 한다. 척박한 땅에 가뜩이나 식량이 부족한데, 사람이 먹을 음식을 나눠줘야 하고, 물에서 뒹굴며 체온을 식여야 하는데 물이 부족하다 보니 더러온 오물에서 뒹굴고 하니 돼지를 기르면 기를수록 오히려 굶게 된다.
또한 불결한 사육환경 때문에 전염병이 창궐한다는 이유로 유대인들을 비롯한 이지역 사람들은 소나 양같은 동물들을 선호했다. 노동력과 젖, 털이나 가축을 제공하고 인간과 음식을 공유하지 않으며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 버티는 동물들을 선택한 것이다. 돼지를 키운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었고 실제로도 키우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유대교는 돼지 키우는 것을 아예 금지 시켰다. 가만히 놔둬도 아무도 안 할 것을 왜 굳이 공식적으로 금지 시켰을까? 의외로 이런 환경에서도 돼지를 키우려고 시도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등장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이 때 사람들도 돼지고기가 맛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때문이다.
원래 아라비아 반도는 기원전 50세기 쯤에는 수풀이 우거진 녹지였다. 당연히 돼지를 키우는데 문제가 없었고 실제로 돼지를 길러서 돼지고기를 먹었다. 역사가 긴 만큼 농업의 역사도 다른 지역에 비해 수천년 일직 시작한 탓에 일찍이 환경이 황폐화되기 시작하였고 녹지가 사라지면서 돼지 키우기가 힘들어 진것이다. 이때문에 돼지고기를 점점 못 먹게 된것이다.
구약성경이 쓰여지던 시대는 이미 사막화가 완료되었고 돼지고기의 맛은 알았지만 더이상 먹기 힘든 상황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나마 물과 슾이 남있는 일부 지역이나 큰 돈을 드려 제반조건을 마련할 수 있는 부잣집에서는 돼지를 키웠다. 돼지가 일종의 특권이 되고 사회의 불만과 양극화를 만드는 불안요쇼로 자리잡게 되자 이것을 종교의 이름으로 금지시켜서 계층을 불문하고 못먹게 만들었던 것이다.
땅과 물이 낭비되니 돼지 키우는 것을 자제해라. 라고 하면서 소수의 특권은 키울 것이기 때문에 먹으면 부정해진다고 종교적으로 하는 것이 가장 평등하고 최선이었다고 판단한 것이였다.
이런 유대교가 로마로 가서 기독교가 만들어지고, 아라비아로 가서 이슬람교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기독교는 돼지고기를 먹고 이슬람교는 여전히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이것은 각자 처한 환경에 따라 허용하고 금지하게 된것이다.
기독교가 발생한 로매제국은 지중해 연한의 해안도시들과 유럽의 삼림지대를 지ㅐㅂ하였기 때문에 돼지를 키우기에 좋은 환경이었고, 반면 이슬람교는 건조한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생하였는데 이 지역은 척박한 땅으로 돼지를 키우기가 어려운 환경이었다. 이 때문에 이슬람교에서 돼지고기를 먹지 말라는 교리는 추분히 일리 있는 말이었다.
실제로 초기 이슬람교는 기존에 로마의 영향권이었던 이집트와 북아프라카, 파반트 지역을 빼앗으며 급속하게 세력을 확장시켰다. 이 지역들은 이슬람의 발원지인 아라비아 반도와 환경이 크게 다르지 않은 건조지역이었다. 당연히 이슬람의 교리를 받아들이기 쉬웠고 이슬람의 지배를 환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이슬람에 정복당한 이베리아 반도는 이슬람과 수백년간의 전쟁 끝에 이슬람을 몰아냈다. 지금도 이베리코 같은 돼지 품종으로 하몬 같은 돼지고기 요리로 유명한 한데, 이런 사람들한테 돼지고기를 먹지 말라고 했으니 당연히 들고 일어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인도의 주류 종교인 힌두교에서는 소고기를 못 먹게 금지하였다. 힌두교는 인도 아리아 계통의 종교로 불교와는 사촌지간이다. 불교의 경우 모든 동물에 대한 살생을 금하는 것으로 유명하고 마찬가지로 인도에서 등장한 많은 종교들에서 살생을 금지하는 교리가 있어 이 지역 계통의 종교들은 공통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힌두교도 불교만큼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육식을 그다지 권장하지 않는다. 다만 그중에서도 특히 소만은 절대로 먹어서는 안되는 초고 존엄으로 여기고 신성한 대상, 숭배의 대상으리고 가르치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이 때문에 돼지를 아예 부정한 동물로 못 박아서 퇴출 시켜버린 이슬람과 달리 인도에서는 소들이 사방을 돌아 다닌다. 그러나 인도인들의 힌두교가 처음부터 소를 숭배하고 보호했던 것은 아니다.
인도문화의 실질적인 조상은 기원전 15ㅅㅔ기 경 북쪽으로부터 침입해 온 아리아인으로 서쪽으로 가서 유럽인이 되고 동남쪽으로 가서 북인도인이 된것이다.
당시 아리아인들은 소와 양을 기르고 말을 타고 다니면서 육식에 거리낌 없는 종족이었다. 때문에 인도에 처음 진입할 시기에는 아리아인들은 전통에 따라 소고기를 즐겨 먹었고 제사 한번 올릴 때마다 소를 몇십마리에서 몇백마리까지 잡아죽이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똑같은 아리아인의 후손인 유럽인들은 유대교의 율법을 바꿔서 새로운 종교를 만들면서까지 모든 육식을 허용하는 것을 택하였고, 인도인들은 불교부터 힌두교까지 이어오며 육식을 자제하는 것을 택하였다. 이것 또한 유대인의 돼지와 마찬가지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이었다.
인더스강 유역에 아리아인들이 나타나던 시기인 인더스문명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처럼 기회변화와 지력의 고갈로 인해 일찍이 쇠퇴한 상태였다. 그리고 새로운 지배계층이 된 아리아인들은 얼마 남지 않은 초지에 소를 풀어 키웠다.
새로운 지배계층이 된 아리아인들은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4개 카스트를 만들어 원주민을 지배하였고, 그 중 최고의 계급은 브라만으로 아리아인들의 차지였다.
아리아인의 종교 전통에 따라 소를 도축하고, 먹고, 제사에 올리는 행위 역시 브라만들의 역할이자 특권이었다. 북인도의 환경은 더욱 빠르게 황폐화되어 갔고 인구는 늘어나는 반면 소를 키울 초지는 점점 줄어 들었고 소와 경작지를 독점하는 브라만 계층에 대한 불람이 커져갔다.,
이런 상황에서 등장한 종교가 바로 불교다. 불교는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고, 살생하지 말라고 가르치며 엄청난 속도로 세력을 확장하며 인도인들에게 퍼져갔다. 이에 수세에 몰린 브라만들은 기존의 교리를 진화시켜 대응하기 시작하였고 이때 만들어진 것이 바로 힌두교다.
당시 기준으로 불교의 교리는 너무 어려웠고 브라만교를 수정해서 형성된 힌두교는 훨씬 쉽고 직관적이었다. 심지어 힌두교는 석가모니를 힌두교의 화신 중 하나로 편입시키고, 신의 이름을 비슈누라 부르며 불교의 교리를 훕수하는 전략으로 완전히 주도권을 빼앗는데 성공하였다.
소를 죽이거나 먹으면 안된다는 교리도 이대 형성된 것으로 모든 동물의 생명이 수중하긴 하지만 특히 소는 그중에서도 가장 소중하다고 조건을 걸고 힌두교에서 가장 신성한 동물로 숭배를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격상시킨 것이다.
브라만은 소를 도축하고 바치는 사람이 아니라 이제는 소를 보호하는 계급이 되었고, 소를 소중히 여기고 먹지 못하게 하는 교리는 인도인들에게 이로운 점이 많았다.
농민들은 가뭄이 일어나도 어떻게든 소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유럽과 달리 돈 많은 부자들고 소를 키우기 위해 토지에 울타리를 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웬만큼 가난한 농민들이라도 작은 소 한마리, 작은 땅 하나식은 가질 수 있었고, 이런 현상은 사회의 밑바닥을 지탱하며 사회적 안정석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지금도 인도에는 소 보호소가 많고 소를 도축하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주들고 많다. 2022년도 인도 인구가 약 14억명이고 소가 3억마리로 세계 최대 규모이다. 브라질이나 미국 같은 나라들도 소는 많지만 기업적으로 사육하는 소들은 고기를 얻기 위해, 젖을 얻기 위해 개량된 소들로 많은 토지와 물, 식량을 들여 키워지며 대부분 3살 되기전에 도축된다. 반면 인도에서 소는 사람과 함께 지내며 알아서 살아간다. 마을 길거리에 돌아다니면서 적당히 아무거나 주워먹고 10년이상을 장수하며 가난한 농가의 유일한 재산이자 노동력과 젖을 제공하고 있다.
사람은 고기를 좋아한다. 건강사으이 이유나 특별한 신념을 가진 경우가 아니라면 본능적으로 고기를 먹는다. 사람은 잡식동몰이라 생물학적으로 육식동물에 가까운 소화기관을 가지고 있고 인체 구성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동물성 단백질과 높은 열량을 가진 지방을 함유되어 있는 고기는 고품질의 영양섭취원중 하나이다.
하지만 지금도 지구상에는 특정한 고기를 먹지 않은 사람들이 수십억명이나 되고 이런 현상들은 대부분 고대로부터 전해진 사회적 규칙을 신앙의 형태로 지켜지고 있는 것이다.
'재미있는 세상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의 사천왕(四天王) (46) | 2023.09.23 |
---|---|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庚戌國恥) (33) | 2023.08.27 |
'정로환[征露丸]' 과 '정로환[正露丸]' (54) | 2023.08.11 |
십자가에 적힌 "INRI"의 뜻 (21) | 2023.07.12 |
달마대사(菩提達磨)와 정응대사(定應大師) (16) | 2023.07.04 |